'Linux' 카테고리의 글 목록
본문 바로가기

Linux4

VIM .vimrc 작성 BM이 프로젝트 개발을 하고 지금까지 사용하고있는 .vimrc 를 소개한다. vimrc 는 RC 파일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Location은 리눅스 계정의 바로 아래에 숨김파일 형식인 .으로 시작하는 ".vimrc" 로 저장하여 사용한다. VI에 익숙한 개발자는 나름대로의 vi 의 rc 파일인 .vimrc 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. 즉, 파일위치는 ~/.vimrc or (아래는 같은곳) /home/Your_Account/.vimrc VIMRC 파일 내용이다. set ts=2 set sw=2 set nu set enc=UTF-8 set fileencodings=utf-8,cp949 set incsearch syntax on filetype on set background=dark set backspace=e.. 2021. 12. 24.
Swap script 두 개의 파일이나 두 개의 폴더를 서로 바꾸고싶을때 가끔 귀찮을때가 있다. 다음의 스크립트를 사용해보길 권고한다. #!/bin/bash temp_abcd=ABCD_temp src_1=$1 src_2=$2 function do_help() { echo "USAGE:" echo " ex) $0 fileA fileB" echo " ex) $0 dirA dirB" exit } if [ -z $1 ]; then do_help fi if [ -d $1 ]; then CMD_1="ls -ald" CATEGORY_1="directory" elif [ -f $1 ]; then CMD_1="ls -al" CATEGORY_1="file" fi if [ -d $2 ]; then CMD_2="ls -ald" CATEGORY_2.. 2021. 12. 24.
xxd 를 이용한 grep command 만들기 XXD 는 어떤 유틸일까? Hexdump Util 에 익숙하다면 XXD 역시 비슷한것을 알수있다. 아래는 hexdump 를 이용하여 바이너리의 구성요소를 hex 값으로 확인이 가능하다. bm@VMI:~/prj/uboot/u-boot-2011.09$ hexdump -C u-boot.bin | more 00000000 3e 01 00 ea 75 62 6f 6f 74 00 00 00 39 6c 0a 5f |>...uboot...9l._| 00000010 00 4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31 2e 31 2e |.@..........1.1.| 00000020 30 00 00 00 31 2e 30 2e 30 00 00 00 00 00 90 40 |0...1.0.0......@| 00.. 2021. 12. 24.
find grep 스크립트 ffgrep find 에 대한 옵션은 다음과 같다. TAG: find option find usage find 옵션 find [OPTION...] [PATH] [EXPRESSION...] OPTION -P : 심볼릭 링크를 따라가지 않고, 심볼릭 링크 자체 정보 사용. -L : 심볼릭 링크에 연결된 파일 정보 사용. -H : 심볼릭 링크를 따라가지 않으나, Command Line Argument를 처리할 땐 예외. -D : 디버그 메시지 출력. EXPRESSION -name : 지정된 문자열 패턴에 해당하는 파일 검색. -empty : 빈 디렉토리 또는 크기가 0인 파일 검색. -delete : 검색된 파일 또는 디렉토리 삭제. -exec : 검색된 파일에 대해 지정된 명령 실행. -path : 지정된 문자열 패턴에.. 2021. 12. 24.